맨위로가기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는 안드로메다자리 방향에서 나타나는 유성우로, 1741년 처음 관측되었다. 1872년과 1885년에는 비엘라 혜성의 파편으로 인해 시간당 수천 개의 유성이 떨어지는 장관이 연출되었으며, 이 시기 유성우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남아있다. 19세기 이후 유성우는 약해져 육안으로 관측하기 어려워졌으나, 관측 장비를 통해 11월 중순에 활동을 관측할 수 있다. 최근에는 2023년 12월 2일에 시간당 200개의 유성우가 관측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성우 - 사분의자리 유성우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매년 1월 초에 나타나는 유성우로, 폐지된 별자리인 사분의자리에서 복사점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복사점은 목동자리와 용자리 사이에 있으며, 최대 시간당 유성수는 변동이 심하고 활동 기간은 짧으며, 소행성 2003 EH₁이 모천체로 추정되고 혜성 C/1490 Y1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 유성우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안드로메다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는 F형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A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큰 이심률의 궤도를 가지고, 질량이 커 가스 행성으로 추정된다.
  • 안드로메다자리 - 안드로메다 은하
    지구에서 약 254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는 964년 알수피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고, 1920년대 허블에 의해 독립된 은하임이 밝혀졌으며, 우리 은하와 충돌하여 거대한 은하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는 나선 은하이다.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기본 정보
이름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모체3D/비엘라 혜성
별자리상부 물고기자리
(안드로메다 은하와 삼각형자리 남쪽)
극대기11월 6일
유성 속도18.1 km/s
시간당 최대 관측 유성 수 (ZHR)2 미만

2. 역사 속의 모습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는 1741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처음 관측된 이후, 19세기까지 여러 차례 관측되었다. 특히 1872년과 1885년에는 시간당 수천 개의 유성이 떨어지는 장관이 연출되기도 했다. 1885년에는 라디슬라우스 바이에크가 프라하 관측소에서 유성 흔적을 촬영하여, 유성 사진 촬영의 첫 사례를 남기기도 했다.[4]

2. 1. 초기 관측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의 첫 관측 기록은 1741년 12월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1798년, 1825년, 1830년, 1838년, 1847년에도 많은 유성우가 내렸다. 1872년과 1885년에는 지구가 비엘라 혜성의 파편이 있는 지역을 지나감에 따라 시간당 몇천 개에 달하는 유성이 떨어졌다. 아테네에서 관측하던 요한 슈미트는 1872년의 유성우가 대부분 5~6등급의 어두운 유성우였고, "넓고 연기같은" 궤적을 남겼으며, 유성은 주로 주황색이나 빨간색이라고 말했다.[6] 잉글랜드에서는 에드워드 로가 오후 5시 50분부터 10시 30분까지 58,600개의 유성우가 떨어졌다고 추산하였고, 사자자리 유성군보다 속도가 느렸다고 말하였으며, 지나간 흔적을 북서쪽에서 날아오는 "매우 멀리서 날아오는 사격"같다고 묘사하였다.[7] 1885년 버마에서는 유성우가 운명적인 징조로 받아들여졌으며, 그 후 꼰바웅 왕조가 멸망하고 영국에 점령당하였다.[8]

수십 년 전에 비엘라 혜성이 붕괴되어 발생한 1872년 11월 27일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안드로메다자리 유성군
날짜흐름ZHR
1798-12-06100
1872-11-2718467000
1885-11-2718526000
1892-11-24≈200
1899-11-24100
1904-11-2120
1940-11-15185230


2. 2. 19세기 대규모 유성우

1872년과 1885년에 지구가 비엘라 혜성의 파편이 있는 지역을 지나가면서 시간당 수천 개에 달하는 유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아테네에서 관측하던 요한 슈미트는 1872년의 유성우가 대부분 5~6등급의 어두운 유성이었고, "넓고 연기같은" 궤적을 남겼으며, 유성은 주로 주황색이나 빨간색이었다고 말했다.[6] 영국에서는 에드워드 로웨가 오후 5시 50분부터 10시 30분까지 58,600개의 유성우가 떨어졌다고 추산하였고, 사자자리 유성우보다 속도가 느렸다고 말하였으며, 지나간 흔적을 북서쪽에서 날아오는 "매우 멀리서 날아오는 사격"같다고 묘사하였다.[7] 1885년 버마에서는 유성우가 운명적인 징조로 받아들여졌으며, 이후 꼰바웅 왕조가 멸망하고 영국에 점령당하였다.[8]

2. 3. 유성우 사진 촬영

1885년 11월 27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천문학자 라디슬라우스 바이에크가 프라하 관측소에서 7mm 길이의 유성을 촬영했는데, 이는 유성 사진 촬영의 첫 사례였다.[4]

2. 4. 18세기 ~ 20세기 초 관측 기록 (표)

안드로메다자리 유성군
날짜흐름ZHR
1798년 12월 6일100
1872년 11월 27일18467000
1885년 11월 27일18526000
1892년 11월 24일≈200
1899년 11월 24일100
1904년 11월 21일20
1940년 11월 15일185230


3. 현재의 활동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는 19세기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맨눈으로 관측하기 어렵지만, 관측 장비를 이용하면 11월 중순에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극대기(11월 9~14일)에는 시간당 3개 정도의 유성이 관측된다. 11월에 보이는 유성우는 비교적 최근의 혜성 꼬리에서, 12월 초에 보이는 유성우는 오래된 입자에서 비롯된 것이다.

2011년 12월 4일, 캐나다 레이다 기지에서 시간당 50개의 유성우가 감지되었는데, 이는 1649년 혜성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2013년 12월 8일에는 (CMOR)가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의 폭발을 감지했다. 과학자들은 2018년에는 약한 유성우가 예상되지만, 2023년에는 시간당 최대 200개의 유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3. 1. 20세기 이후의 변화

19세기 이후 유성우는 상당히 어두워져서, 지금은 일반적으로는 맨눈으로 관찰할 수 없다. 하지만 관측 장비를 이용한다면 11월 중순에 활동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극대기(11월 9~14일)에 시간당 3개의 유성우가 떨어진다. 11월에 보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의 활동은 최근(혜성 분열 당시)의 혜성 꼬리에서 나온 것이고, 12월 초에 관찰되는 유성우는 오래된 입자들이다.

2011년 12월 4일, 여섯 개의 캐나다 레이다 기지에서 시간당 50개의 유성우를 감지하였다. 이 유성우는 1649년의 혜성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2013년 12월 8일, 유성 전문가 피터 브라운은 (CMOR)가 24시간 이내에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의 폭발을 감지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2018년에 더 약한 유성우가 돌아오지만, 2023년에 시간당 200개의 유성우가 떨어질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캐나다 유성 궤도 레이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 11월 27일에 시간당 30개의 유성우가 떨어진 것이 밝혀졌다.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관측 기록
날짜유성체 흐름의 기원ZHR (레이더)
2008년 11월 27일164930
2011년 12월 4일164950
2012년 11월 9일1812낮음


3. 2. 최근 관측 동향

19세기 이후 유성우는 상당히 어두워졌기 때문에, 지금은 일반적으로는 맨눈으로 관찰할 수 없다. 하지만 관측 장비를 이용한다면 11월 중순에 활동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극대기(11월 9~14일)에 시간당 3개의 유성우가 떨어진다. 11월에 보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의 활동은 최근(혜성 분열 당시)의 혜성 꼬리에서 나온 것이고, 12월 초에 관찰되는 유성우는 오래 된 입자들이다.

2011년 12월 4일, 여섯 개의 캐나다 레이다 기지에서 시간당 50개의 유성우를 감지하였다. 이 유성우는 1649년의 혜성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2013년 12월 8일, 유성 전문가 피터 브라운은 (CMOR)가 24시간 이내에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의 폭발을 감지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2018년에 더 약한 유성우가 돌아오지만, 2023년에 시간당 200개의 유성우가 떨어질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캐나다 유성 궤도 레이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 11월 27일에 시간당 30개의 유성우가 떨어진 것이 밝혀졌다.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관측 기록
날짜유성우 기원ZHR
(레이더)
2008년 11월 27일164930
2011년 12월 4일164950
2012년 11월 9일1812낮음
2021년 11월 28일1655≈100
2023년 12월 2일 19:00 UT[5]1649200?
(육안?)


3. 3. 21세기 관측 기록 (표)

(레이더)2008-11-271649302011-12-041649502012-11-091812낮음2021-11-281655≈1002023-12-02 19:00 UT[5]1649200?
(육안?)


3. 4. 향후 전망

19세기 이후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는 상당히 어두워져서 일반적으로는 맨눈으로 관찰할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관측 장비를 이용하면 11월 중순에 활동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극대기(11월 9~14일)에 시간당 3개의 유성우가 떨어진다.

2011년 12월 4일, 여섯 개의 캐나다 레이다 기지에서 시간당 50개의 유성우를 감지하였다. 이 유성우는 1649년의 혜성에서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2013년 12월 8일, 유성 전문가 피터 브라운은 캐나다 유성 궤도 레이다(CMOR)가 24시간 이내에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의 폭발을 감지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2018년에 더 약한 유성우가 돌아오지만, 2023년에 시간당 200개의 유성우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캐나다 유성 궤도 레이다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 11월 27일에 시간당 30개의 유성우가 떨어진 것이 밝혀졌다.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관측 기록
날짜기원ZHR
(레이더)
2008-11-27164930
2011-12-04164950
2012-11-091812낮음
2023-12-02 19:00 UT[5]1649200?(육안?)


참조

[1] 논문 Meteors of Nov. 27th, 1872, in Europe https://archive.org/[...] 1873-02
[2] 논문 Meteors of Nov. 27th, 1872, in Europe https://archive.org/[...] 1873-02
[3] 서적 Lonely Planet Myanmar
[4] 서적 Catchers of the Light: The Astrophotographers' Family History http://www.catcherso[...] S. Hughes 2012
[5] 웹사이트 2023 Meteor Shower Calendar https://imo.net/file[...]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6] 간행물 American Journal of Science 1873-01/06
[7] 간행물 AJS
[8] 서적 Lonely Planet Myanm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